REST API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의 약자로 백엔드와 클라이언트에서 어떤 방식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할지를 결정해놓은 것
RESTful Web services 로도 불린다.
많이 쓰이는 걸로는
GET POST PUT DELETE
GET => 이미 존재하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읽을 때 사용
POST => 새로운 사용자를 만들 때 사용
PUT => 이미 있는 사용자의 정보를 업데이트할 때 사용
DELETE => 사용자의 정보를 지울 때 사용
Graph QL 을 쓰지 않으면, 거의 대부분 REST API를 쓰기 때문에 꼭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GET을 요청할 때 아래 이미지의 end point 이후 ? 가 있으면, query parems이 시작된다. query parem은 우리가 원하는 정보를 세부적으로 좁혀준다.
POST MAN
API 개발시 매우 편리한 앱
Postman | The Collaboration Platform for API Development
Postman makes API development easy. Our platform offers the tools to simplify each step of the API building process and streamlines collaboration so you can create better APIs faster.
www.postman.com
API 개발시 GUI 상에서 편하게 관리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앱이다.
- 새로운 탭 오픈
- 요청/응답을 여러 개 확인할 수 있다.
- HTTP 메소드 선택
- GET, POST, DELETE 등과 같은 메소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 URL 입력 창
- URL과 Endpoint를 입력하는 창이다.
- HTTP 요청 버튼
- HTTP 요청시 설정할 수 있는 각종 옵션
- 추가적인 파라미터나, 요청 본문(body)을 추가할 수 있다.
- HTTP 응답 화면
- 요청을 보낸 후 응답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컬랙션을 사용해서 따로 새로운 컬랙션을 만들었을 때, Varaibles에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url을 저장해놓을 수 있다.
'개발 R.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7.22 Dev.Feedback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2) (0) | 2021.07.22 |
---|---|
7.19 Dev.Feedback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2) | 2021.07.19 |
7.16 Dev.Feedback ( 비동기적 프로그래밍 # B Fetch, Async) (1) | 2021.07.16 |
7.12 Dev.Feedback (비동기적 프로그래밍 #A Callback, Promise) (0) | 2021.07.12 |
7.09 Dev.Feedback (Redux) (0) | 2021.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