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하는 나 보고서/회사 업무 적응 기록

SEO(검색엔진최적화)에 대한 정리 #1

편행 2022. 10. 5. 09:06
반응형

상황 설명 

회사 홈페이지 리뉴얼을 다른 회사 직원들 그리고 사장님의 만족 하에 잘 마무리를 지었다.

하지만 현재 회사 홈페이지의 노출은 현저히 낮은 편이고 또 견적 문의 정보 전달이란 영역에서 홈페이지가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에 따라 홈페이지를 제대로 사용할 수 있게 어느 정도 홍보를 위한 업무를 진행했으면 하는 사장님의 오더가 있었다. 

 

해결 방안

우선 해결 방안에 대한 논의는 두 가지로 나누어졌다. 네이버를 통해 파워링크를 거는 방법, 그리고 블로그를 운영하는 방법. 하지만 네이버 블로그에 글을 단순히 작성하는 것만으로는 효과적인 결과를 얻어낼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우리 제품을 찾는 담당자는 구글링을 통해 결과값을 얻어내고자 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기 때문에 그에 따라 구글 검색 엔진 최적화의 조건에 맞는 글을 작성하여 우리 홈페이지로 연결할 수 있게 해야한다.

 

그에 따라, 우선 SEO에 대한 정리 그리고 구글 SEO 조건에 대해 최대한 세세하게 스터디하여 그 기록들을 남기고자 한다.

 

#1에서는 SEO에 대해 가볍게 정리하고, 그에 대한 질문들을 뽑아내는데 초점을 맞추어 제작한다.

 

SEO(검색엔진최적화)

“Perfect search engine” as something that understands exactly what you mean and gives you back exactly what you want.”

 

SEO란 검색자의 의도를 이해하고 이에 맞춰 웹 페이지의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 페이지가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잘 노출되도록 웹페이지의 태그와 링크 구조를 개선하여 자연 유입 트래픽을 늘리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포인트를 맞추어야 하는 영역이 두 가지로 나눠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 검색자의 의도를 이해하고 이에 맞춰 웹 페이지의 콘텐츠를 제작한다.

2. 제작한 페이지가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잘 노출되도록 웹페이지의 태그와 링크 구조를 개선한다.

 

그리고 위의 두가지 포인트에 대한 기본적인 해결책은 아래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 검색 이용자의 검색 의도와 검색 이용자들의 이해 맥락을 파악하여 이를 콘텐츠에 충분히 반영한다.
  • 검색 이용자가 검색을 통해 질문하는 다양한 주제의 유익한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 검색 이용자가 원하는 내용을, 원하는 채널에서, 원하는 시점에 찾을 찾을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검색 이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다양한 디지털 채널에 어울리는 포맷으로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확신 시킨다.
  • 콘텐츠의 HTML코딩을 진행함에 있어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독자에게 도움이 될 구조화 마크업(*)을 포함시켜 검색결과페이지에서 콘텐츠가 보다 높은 가시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하지만 저런 원론적인 해결책보다는 실질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며 그렇기에 질문을 구체화 시킬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우선적으로 질문 리스트를 정리해본다.

 

1번에서 파생되는 질문

 

- 우리 제품을 이용하는 담당자들의 니즈는 무엇이며, 그 담당자들의 검색 키워드는 무엇일까?

- 그것을 제공하기 위해서 어떤 컨텐츠를 제작해야할까?

- 우리가 컨텐츠를 제작하는데 있어 본사 측에서 전달 받을 수 있는 컨텐츠들은 얼마나 있을까?

- 다양한 제품 영역에서의 담당자들의 Pain Point는 무엇이며, 그들이 정보를 전달 받음에 있어 영어로 정보를 봄으로 인한 Pain Point가 있는가?

 

2번에서 파생되는 질문

 

- 웹페이지의 태그와 링크 구조를 개선한다는 건 어떻게 하는 걸까?

- 현재 우리의 기술 수준에서 해결이 가능한 영역인가?

- 이걸 시스템화 구조화 시킬 수 있는가?

- 태그 = 키워드인가?

- 구글 SEO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공식이 어느 정도 정해져 있는가?

 

#2부터는 파생된 질문에 따라 구체적인 답변들을 최대한 정리해보아야 한다.

반응형